카테고리 없음

폐암원인 라돈 5가구중 한집꼴로 기준 초과

알통가재 2013. 1. 28. 11:53

 

 

 

 

 

날씨가 추울 수록 실내 환기를 잘 해야 건강을 지킬 수가 있다.

흡연에 이어 폐암 발병의 두 번째 주요 원인인 라돈이 전국 주택의 다섯 가구 중 한 집 꼴로 권고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토양과 실내의 온도 차이가 크고 환기율이 낮은 겨울철에는 실내 라돈 농도가 더욱 높아진다. 이에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전국 7,800여 주택을 대상으로 2011년부터 2012년까지 2년 간 겨울철에 ‘전국 주택 라돈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조사대상 주택 전체 중 22.2%(1,752가구)가 라돈에 관한 환경부의 다중이용시설 권고기준(148 Bq/m3)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주택 유형별로는 단독주택이 권고기준을 가장 많이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를 통해 라돈 고농도 주택으로 확인된 600가구를 포함해 라돈 노출에 취약한 총 1,000가구에는 한국환경공단에서 실내 라돈 무료측정 및 저감 컨설팅을 지원하고 알람기를 제공할 계획이다.


취약 주택(지하, 1층)에 대한 실내라돈 무료측정 서비스는 1월 23일부터 한국환경공단 또는 생활환경정보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다.


아울러 환경부는 올해 안에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을 개정해 지금까지 다중이용시설을 중점으로 관리하던 기존 정책에서 나아가 주택 등 실내공간의 관리기준을 설정하고, 고농도 라돈 관리지역에 대한 저감공법 사용 권고, 취약시설 실태조사 확대 등 다양한 저감 대책을 마련해 시행할 방침이다.


과학원 관계자는 “1급 발암물질인 라돈은 토양, 암석 등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해 건물의 바닥이나 벽의 갈라진 틈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므로 바닥과 벽에 틈새가 많거나 토양과 인접해있는 경우, 라돈이 많이 방출되는 토양 위에 위치한 주택에서는 실내 라돈 농도가 높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날씨가 춥더라도 주기적으로 환기를 시켜준다면 실내 라돈 농도를 상당 부분 낮출 수 있다”며 “충분한 환기가 라돈의 위험으로부터 가족의 건강을 지키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라고 밝혔다.


과학원은 2020년까지 겨울철마다 2년 단위로 전국 주택 라돈 조사를 실시해 주택 실내 라돈 관리를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