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리운 나날글과 함께 춤을/산문놀이 2013. 1. 23. 00:35
우리집 앞에는 조그만 세탁소가 있었다.
주인은 온 동네 일에 간섭을 좋아하시는
밉지 않은 할아버지-.
그 할아버지가 어느 날 출근길에
한마디를 던지신다.
“그 집 구석은 알다가도 모르겠어...”
바쁜 출근 길 그 뒷말을 기다릴 길이 없어
회사로 향했지만
하루종일 세탁소 할아버지의 뒷 이야기가 궁금했다.
그 할아버지는 “그 집 구석”을
왜 그다지도 알다가도 모르겠다고 했는가?
그날 저녁 세탁소에는 때 아닌 소주파티가
벌어졌고 알통은 “내집 구석이 뭐가 그리 알다가도 모르겠습니까?”고
따져 묻고 있었다.
할아버지의 말씀인 즉은
“세상이 떠나갈 듯 싸우기도 하고,
온 동네가 떠나갈 듯 웃음소리가 들리는가 하면,
온 가족이 마라톤 여행을 간다고 동네방네 떠들고 희희락락...“
밀집된 단독주택은 아무리 방음장치가 잘돼있어도
세대의 프라이버시가 보장이 안된다.
하물며 3층에서 사는 가족은 온 동네에 노출된다.
무슨 말씀인지 금방 짐작이 갔다.
우리 가족은 결코 “조용한 가족”은 아니다.
식구들 모두가 목청이 높아
다정히 말을 해도 싸우는 모습으로 보이기도 할 것이지만
싸울라치면 “그집은 늘그래”하면서 지나치기도 한다.
아파트로 이사온지 2년째-.
그 할아버지는 오래전에 세탁소를 아들에게 물려주고
멀리 이사가 잊어진지 오래지만
옆 짚 암캐를 기르던 아주머니의 찢어질듯한 목소리는
여전히 들리는 듯 잔영이 남아 있다.
“왠 동네 수캐새끼들이 다모여...아이고 지겨워”
그 직후에 들려오는 재수 없는,
아주머니의 작대기에 후려맞은 “수캐새끼”의
깨갱 대는 소리도 여전히 들리는 것 같다.
물론 우리가족도 여전하다.
“야! 민지야 살 안 뺄래. 진후는 게임 그만하고.
어휴 지금이 몇신데 아직도 드라마만 보시고 계세요?”
내 목소리다.
“술 좀 그만 마셔... 건강하다고 막 마셔댈거야”
이는 울 마눌과 장모님의 합동작전, 코러스다.그리고 늘 아쉬운 것이있었다.
아니 소원이 있었다.
“잔소리좀 그만 못해! 앙!”
이 말 한마디, 마눌에 대한 절규,
늘 하고 싶었지만
말이 나오기는 커녕 날이 갈수록 점점 더목구멍으로 기어들어가고 있었다.
이제 이 모두가 그리운 나날이 돼 버렸다.
'글과 함께 춤을 > 산문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에 듣도 보도 못한 사랑학 강의 그 세번째 대면 접촉 이후의 전략 (0) 2013.01.23 골퍼들의 택씨란? (0) 2013.01.23 1968년 1월 21일 새벽-. (0) 2013.01.21 세상 어디에서도 듣도 보도 못한 사랑학 강의 그 두번째 타격목표를 향한 접근전략 (0) 2013.01.21 산중 카페가 그립습니다. (0) 2013.01.20